본문 바로가기
유아교육

아동연구 방법1

by so_dam 2023. 2. 9.
반응형

 

 

 

아동연구


모든 과학과 이론들은 정보 수집, 해석, 실제 생활에의 적용을 안내한다. 일반적으로 연구는 이론을 근거로 한 가설과 예측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이론과 가설은 단지 아동 발달에 있어서 철저한 검증으로 생긴 많은 활동의 시작일 뿐이다. 과학적으로 수용된 과정에 따라 연구하는 것은 많은 단계와 선택으로 진행된다. 연구자들은 피험자를 선택하고 그 수를 결정해야만 한다. 또한 질문, 시간, 장소, 횟수등을 미리 계획하여 실험하고 수집한 자료를 근거로 결론을 도출해야 한다.


다음 절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동 연구 전략들을 소개하였다. 먼저 검사, 질문지, 면담, 관찰 등의 다양한 정보 수집방법을 살펴보고 연구자의 가설에 가장 잘 맞는 연구방법을 찾기 위한 연구 설계와 아동 연구에 있어서의 윤리성 문제를 논할 것이다.


이 시점에서 왜 연구전략을 배워야 하는가? 왜 연구전문가에게 일을 맡기지 않고 우리가 아동연 구에 대한 지식과 이것을 어떻게 적용시킬 수 있을지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하는 의문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우리는 현명하고 비판적인 지식의 소비자여야만 한다.

 

다양한 연구 전략의 장단점을 아는 것은 신뢰할 만한 정보와 오류 구분하는 데 중요하다.

 

둘째, 아동들과 함께 활동하는 사람이 연구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연구와 실제 간의 연결고리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학교, 정신건강시설, 공원,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등에서 일하는 연구자들과 협력하여 아동 발달을 증진시켜 주는 다양한 개입 프로그램을 계획, 수행, 평가하고 있다(Lerner, Fisher, 8 weinberg, 2000). 이러한 노력을 더욱 확장하기 위해 연구과정의 이해는 필수이다.

 

 

 

 

정보 수집의 일반적 방법


연구자는 아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기본적인 접근방식을 어떻게 선택하는가? 일반적 방법에는 체계적 관찰과 질문지, 인터뷰 같은 자기 보고, 심리측정 검사, 개별 아동에 대한 임상이나 사례 연 구, 특징 아동집단의 생활환경에 관한 민족기술지 등이 있다.


체계적 관찰 아동의 행동관찰과 아동의 삶에 의미있는 성인의 행동 관찰은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하다. 그 중 하나는 자연적인 환경이나 현장에 참여하여 관심 행동을 관찰하는 자연 관찰 (naturalistic observation)이다. 유아들의 어려움에 처한 또래에 대한 반응 연구는 자연관찰방법의 좋은 예이다(Branstetter,1994). 연구자들은 보육기관에 있는 3~4세 유아들을 관찰하면서, 아동이 울 때 다른 아 동들의 반응, 즉 가까이 있는 아동들이 무시하는지, 주의 깊게 지켜보는지, 관심을 가지고 말을 거는 지, 나무라거나 괴롭히는지, 돕거나 동정을 표현하는지를 기록했다. 성인의 민감성이 아동의 반응과 관련이 있음을 알아보기 위해 아동이 우는 이유를 설명하고 충동을 중재하거나 안정을 찾게 하는 것 과 같은 양육자의 행동을 기록했는데,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자연 관찰의 큰 장점 은 연구자들이 설명하기를 원하는 일상행동을 직접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자연 관찰의 어려움은 일상생활에서 특별한 행동이 누구에게나 똑같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방금 언급된 연구에서 어떤 아동들은 울고 있는 친구를 만날 수 있을 수도 있지만 다른 아동 들은 양육자의 민감성을 경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단점을 구조적 관찰(structured observations)로 보완 할 수 있다. 이는 모든 참여자들 에게 반응을 나타낼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고 연구행동이 나타날 수 있는 실험실을 구성한다. 어떤 연구서는 옆방에서 아동의 우는 소리를 테이프로 들려주었을 때, 아동들이 안심하는 행동을 보였 다. 이 실험에서는 내부통화 장치를 사용해서 아동들이 아기에게 이야기하거나 단추를 눌러서 울음 소리를 들을 수 없게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Bisenberg et al,, 1993). 구조적 관찰이 얼마나 연구 상 황을 통제하도록 허용하는지를 주목해야 한다. 그러나 이 방법의 단점은 사람들은 실험실 상황아래에서는 일상에서 행동하는 것처럼 행동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체계적인 관찰 과정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양하다. 몇몇 연구자들은 완전한 행동흐름 즉, 일정 시간 이상 말하고 행하는 모든 것을 기술할 필요가 있다. 예전에 실행한 한 연구에서는 양육자가 보육 기관에서 아동들에게 얼마나 민감하고 반응적이며 또한 언어적으로 반응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Berk, 1985). 그러므로 휴식을 취하고 전화하는 등 아동들과 떨어져 있는 시간까지도 양육자가 하 는 모든 말과 행동이 중요했다. 하지만 모든 행동의 흐름을 놓치지 말아야 하는 연구가 아닌 일부 행동관찰만으로 가능한 연구에서는 어떤 사건만 기록하거나 체크리스트를 쓴다.


체계적인 관찰은 아동과 성인이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관한 매우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하지만 반 응의 원인에 대해서는 거의 말해 주는 것이 없다. 이러한 정보를 위해 연구자들은 자기 보고 같은 다 른형태의 방법으로 보완해야만 한다.

 

 

 


자기 보고

 

면접과 질문지 자기 보고는 참여자의 지각, 사고, 능력, 느낌, 태도, 신념, 과거 경험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질문 도구이다. 그것들은 비교적 덜 구조화된 면접에서부터 상당히 구조화된 면접, 질문지, 검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임상적 면담(clinical interview)은 피험자의 관점을 보다 면밀히 알아내기 위해 융통성 있는 대 화형식을 사용한다. 피아제가 5세 유아의 꿈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질문한 예를 살펴보자.


꿈은 어디서 올까? 잘 자서 꿈을 꾼다고 생각해요. 꿈은 안에서 오는 걸까 밖에서 오는 걸까? 밖 에서요. 언제자고 언제 꿈을 꾸니, 꿈은 어디에 있을까? 내 침대에요, 담요 밑에요. 나는 정말 몰 라요. 만약 그것이 내 배속에 있다면, 뼈는 그 길이고, 나는 그걸 볼 수 없어야만 해요. 네가 잘 때 거기에 꿈이 있을까? 네, 그것은 내 옆 침대에 있어요 (Piaget, 1926/1930, PP.97.98).


임상적 면담은 두 가지 주요한 장점이 있다. 

 

첫째, 피험자는 일상적인 사고방식대로 자신의 언어로 생각을 드러낸다. 둘째, 임상 면접은 단 기간에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동양육 에 곤한 정보를 수집하고자 할 땐 1시간 동안 부모와의 면담이 관찰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보다 훨 씬 많은 정보를 얻게 해준다.


임상적 면담의 단점은 사람들이 자신의 생각, 느낌, 경험에 대한 보고의 정확성에만 의존해야 한다는 것이다. 면접자를 기분 좋게 하려고 어떤 피험자들은 대답을 조작할 수 있다. 과거의 사건을 질 문 받을 때, 일어났던 일을 정확히 기억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임상 면담이 언어 능력과 표현력에 의존하기 때문에 자신의 생각을 언어화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들의 능력을 과소평가할 수 있다.


임상적 면담은 또한 그것의 융통성 때문에 비판받고 있다. 질문이 각 피험자들이 말로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반응의 차가 나타날 수도 있다. 이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각 피험자들에게 똑같은 방법으로 같은 질문을 하는 구조적 면담(structured interviews)을 활용한다. 구조적 면담은 훨씬 효과적이다. 대답은 짧고, 연구자들은 일시에 많은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구조적 면담은 다양한 검사와 질문지를 작성함으로써 예/아니오, 진실/거짓을 선택하도록 하고 응답내용을 컴퓨터로 기록해둔다. 그러나 구조적 면담은 간편하고 많은 자료를 일시에 얻을 수는 있지만 임상적 면담 처럼 깊이 있는 정보를 얻지 못하고 부정확한 정보를 수집하게 될 수도 있다.

반응형

'유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민 가정의 아이들의 발달  (0) 2023.02.09
아동연구방법 2  (0) 2023.02.09
브론펜브루너 - 생태체계이론 2  (0) 2023.02.08
브론펜브루너 - 생태체계이론 1  (0) 2023.02.08
비고츠키 - 사회문화이론  (0) 2023.02.08

댓글